로고

제주시 '청정 환경도시 조성' 올인

1,400억원 투입… 녹지 공간 확대ㆍ산림 휴양 공간 조성 등

김현종 기자 | 기사입력 2023/01/04 [18:15]

제주시 '청정 환경도시 조성' 올인

1,400억원 투입… 녹지 공간 확대ㆍ산림 휴양 공간 조성 등

김현종 기자 | 입력 : 2023/01/04 [18:15]

 

▲  제주시는 올 한 해 동안 조화로운 녹색 성장 도시ㆍ지속가능한 자원순환 친환경 도시ㆍ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도시 녹지 공간 확대' 및 '산림 휴양 공간 조성' 등의 사업비 1.400억원을 투입한다. / 사진제공 = 제주시청  © 김현종 기자




 

 

제주시가 올 한 해 동안 '자연과 상생하는 청정 환경도시' 조성을 골자로 1.400억원의 예산을 쏟아 붓는다.

 

4일 제주시는 "조화로운 녹색 성장 도시지속가능한 자원순환 친환경 도시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도시 녹지 공간 확대' '산림 휴양 공간 조성'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특히 자연과 조화로운 녹색 성장 도시 조성에 사업비 664,000만원을 투입, 청정 제주의 가치보전과 자연자산의 현명한 이용 및 탄소중립 생활 실천을 모색한다.

 

또 생활 속 오염물질 관리와 환경오염물질 배출시설 지도점검 체계 선진화로 청정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고 생활폐기물 배출수거처리 체계 역시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먼저, 미세먼지 등 생활 속 대기오염물질 저감을 목표로 가정용 저녹스보일러 교체전기굴착기 보급 지원미세먼지 불법배출 예방감시 사업이 추진되고 축산악취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배출시설 통합 관리시스템도 구축한다.

 

무엇보다, 축산악취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취약시기별 집중 지도점검을 실시하고 가축분뇨 무단배출 등 환경오염 사고를 사전에 차단해 청정 제주의 지하수 및 토양 오염을 예방한다.

 

아울러, 재활용도움센터 15개소(사업비 35억원)를 신축하는 등 클린하우스 운영과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의 불편함을 완화하고 동복리 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와 색달동 음식물류 폐기물처리시설 준공과 운영에 따른 생활폐기물 수집운반체계도 확립한다.

 

또한 제주 업사이클링센터를 하반기까지 개관해 버려지는 폐기물에 디자인을 입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기반도 모색한다.

 

이 밖에도, 다양한 산림휴양 수요와 사회적 약자 등이 안전하게 휴양할 수 있도록 절물휴양림과 노루생태관찰원 맞춤형 보안과 복합재해 대비 안전사고예방 사업을 통해 전국 최고의 명품 휴양림을 만들어 나갈 예정이다.

 

제주시 청정환경국 관계자는 "시민이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올해 목표한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이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assumes that there ar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Jeju City's 'Creating a Clean Environment City' All-In

140 billion won investmentExpansion of green space, creation of forest recreation space, etc.

 

Reporter Kim Hyun-jong

 

Jeju City will pour a budget of 140 billion won this year with the main goal of creating a 'clean environment city that coexists with nature'.

 

On the 4th, Jeju City announced that it would "promote projects such as 'expansion of urban green space' and 'creation of forest recreation space' to improve the city of harmonious green growth, sustainable resource circulation, eco-friendly city, and citizens' quality of life."

 

In particular, by investing KRW 6.64 billion in the creation of a green growth city in harmony with nature, it seeks to preserve the value of clean Jeju, use natural assets wisely, and practice a carbon-neutral life.

 

In addition, it plans to create a clean living environment by managing pollutants in daily life and advancing the guidance and inspection system for facilities discharging environmental pollutants, and to establish a system for discharging, collecting, and treating household waste.

 

First, with the goal of reducing air pollutants in daily life, such as fine dust, replacement of low-NOx boilers for households, support for the supply of electric excavators, and prevention and monitoring of illegal fine dust emissions are promoted, and a livestock odor monitoring system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emission facilities are also established.

 

Above all, through real-time monitoring of livestock odor, intensive guidance checks are conducted for each vulnerable period,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ccidents such as unauthorized discharge of livestock manure are prevented in advance to prevent groundwater and soil contamination in clean Jeju.

 

In addition, 15 recycling help centers were newly built (project cost of KRW 3.5 billion) to alleviate the inconvenience of operating a clean house and discharging recycled products by day, and collecting household waste through the completion and operation of a regional living resource recovery center in Dongbok-ri and a food waste treatment facility in Saekdal-dong. Establish a transportation system.

 

In addition, the Jeju Upcycling Center will open until the second half of the year to seek a basis for creating new value by applying design to discarded waste.

 

In addition, Jeolmul Recreation Forest and roe deer ecological observer customized security and safety accident prevention business in preparation for complex disasters will be created to create the best luxury recreational forest in the country so that various forest recreational demands and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can safely rest.

 

An official from the Clean Environment Bureau of Jeju City said, "We will do our best to promote the project that we set out to achieve this year so that citizens can enjoy a happy life."

  • 도배방지 이미지

포토뉴스
이동
메인사진
제주도 '공공요금 4종' 동결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가장 많이 읽은 기사
제주도 '공공요금 4종' 동결 / 김현종 기자
한라미술인협회 '특별기획전' 개최 / 김현종 기자
2023 계묘년(癸卯年)… 새해 첫 일출 / 김현종 기자
제주형 어린이 통학로 조성사업 ‘순항’… 교통사고 예방효과 톡톡 / 편집자
공무원연금공단 '학자금 대부' 시행 / 김현종 기자
제주도, 대설·강풍 특보 대비 비상 2단계 상향 가동 / 노보림 기자
[서귀포시] 초·중·고 장애학생 겨울방학 돌봄 공백 해소 / 편집자
제주도, 폭설·빙판길 대응 23일 퇴근시간 버스 추가 증차 / 노보림 기자
서귀포시, 2023년도 개별공시지가 조사 추진 / 노보림 기자
사회 많이 본 기사